사실 IPCC 의 보고서들은 전력 생산 부분 단독으로만 인위적 온실 가스 생산량을 측정하지 않았다. 그것은 전기가 에너지의 사용이라기 보다는 에너지를 전송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전기를 생산하는 것은 다른 용도로 쓰기 위함이지 전기 자체가 최종 목적이 될 수는 없다.
전기는 가전기기에 공급될 수도 있고, 난방용이나 냉방용으로 쓰일 수도 있고, 산업용이나 농업용으로도 쓰일 수 이다. 어느 분야에는 전기는 현대 문명에 필수적이다. 그리고 각각의 분야에 쓰이는 전기는 각분야별 인위적 온실 가스 배출량 통계에 들어간다. 아무튼 전력 생산에서 발생하는 인위적 온실 가스가 엄청나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면 전세계 전력 사용양은 얼마일까 ? 아래 통계를 보자. (1)
224
Rank
Country
Electricity consumption (MWh/year)
Year of Data
Source
Population
As of
Average power per capita (Watts)
—
World
16,830,000,000
2005
CIA Est.[3]
6,464,750,000
2005
297
1
United States
3,816,000,000
2005
CIA[1]
298,213,000
2005
1,460
2
People's Republic of China
2,859,000,000
2006
CIA
1,315,844,000
2005
248
—
European Union[4]
2,820,000,000
2004
CIA Est.
459,387,000
2005
700
3
Russia
985,200,000
2007
CIA Est.
143,202,000
2005
785
4
Japan
974,200,000
2005
CIA
128,085,000
2005
868
5
Germany
545,500,000
2005
CIA
82,689,000
2005
753
6
Canada
540,200,000
2005
CIA
32,268,000
2005
1,910
7
India
488,500,000
2005
CIA
1,103,371,000
2005
50.5
8
France
451,500,000
2005
CIA
60,496,000
2005
851
9
South Korea
368,600,000
2007
CIA
47,817,000
2005
879
10
Brazil
368,500,000
2005
CIA
186,405,000
2005
226
11
United Kingdom
348,700,000
2005
CIA
59,668,000
2005
667
12
Italy
307,100,000
2005
CIA
58,093,000
2005
603
13
Spain
243,000,000
2005
CIA
43,064,000
2005
644
14
South Africa
241,400,000
2007
CIA
47,432,000
2005
581
15
Taiwan (Republic of China)
221,000,000
2006
CIA
22,894,384
2005
1,101
16
Australia
219,800,000
2005
CIA
20,155,000
2005
1,244
17
Mexico
183,300,000
2005
CIA
107,029,000
2005
195
18
Ukraine
181,900,000
2006
CIA
46,481,000
2005
446
19
Saudi Arabia
146,900,000
2005
CIA
24,573,000
2005
682
20
Iran
136,200,000
2005
CIA
69,515,000
2005
(출처 : wiki)
이에 따르면 전세계 전력 사용량은 2005 년에 총 168억 MWh 에 달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전력 생산이란 필연적으로 100% 다 쓸수는 없고 어느 정도는 전력 예비량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은 이보다 클 수 밖에 없다. 그러면 생산량은 ? 아래표를 보자 (2)
Rank
Country/Region
Electricity - production (kWh)
Date of
Information
-
World
19,894,777,395,212[2]
2007
1
United States
4,367,874,939,000[2]
2007
2
People's Republic of China
3,277,720,000,000[2]
2007
3
Japan
1,160,042,169,000[2]
2007
4
Russia
1,014,870,000,000[2]
2007
5
India
774,660,000,000[2]
2007
6
Germany
636,500,000,000[2]
2007
7
Canada
602,406,000,000[2]
2007
8
France
566,531,000,000[2]
2007
9
Korea, South
439,984,000,000[2]
2007
10
Brazil
433,594,000,000[2]
2007
11
United Kingdom
397,516,000,000[2]
2007
12
Spain
322,307,000,000[2]
2007
13
Italy
314,353,000,000[2]
2007
14
South Africa
261,476,482,600[2]
2007
15
Australia
260,719,954,200[2]
2007
16
Taiwan
257,306,000,000[2]
2007
17
Mexico
253,691,000,000[2]
2007
18
Ukraine
195,130,500,000[2]
2007
19
Iran
193,308,000,000[2]
2007
20
Turkey
190,973,000,000[2]
2007
(출처 : wiki)
2007년의 통계로써 전세계 전력 생산량은 약 199억 MWh 정도이다. 현재 전체 인류의 전체 에너지 사용의 40%가 전력 생산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IPCC 4차 보고서) 이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에너지 형태이기도 하다. 이 에너지의 과연 몇 %가 화석연료로 부터 얻어질까? 그것은 65% 이상이다.
아마 이 분야와 관련해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 기구 중 하나는 바로 IEA (Internal Energy Agency) 일 것이다. IEA 의 2007년 보고서를 참조할 때 세계 전력 생산의 66% 이 화석연료로 부터 얻어진다. (3)
(2007년 IEA 보고서를 기준으로 작성한 연료별 세계 전력 생산량. 표안의 숫자는 % 를 의미함. 기타는 2.2%. Source : IEA Key World Energy Statistics 2007, 작성자 : Gordon : 이 파일을 public domain 으로 공개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당연히 각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다. 이를테면 미국에서는 화석연료 사용이 70% 정도를 차지하는 반면 프랑스에서는 78%를 원자력이 차지하고 있다.
##########13*
(2006년 미국의 연료별 전력 생산 : Data from http://www.eia.doe.gov/cneaf/electricity/epa/epat1p1.html, CCL 에 따라 복사 허용. 저자 :
##########14*
(2006년 프랑스의 연료별 전력 생산 : 출처 [http://www.industrie.gouv.fr/energie/statisti/pdf/elec-analyse-stat.pdf].), CCL 에 따라 복사 허용, 저자 표시. 저자 : Godefroy )
이렇게 전력 생산에서 특히 화석연료의 비중이 큰 미국의 경우 전체 온실 가스 배출의 1/3이 바로 전력 생산에서 나온다. 또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은 2006년에 284억톤인데 (5), 이 중 거의 100억 톤 정도가 전세계 5만개의 발전소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이는 전체 온실 가스 배출의 거의 1/5에 해당하는 양으로 생각된다.
이중에서도 역시 발전의 핵심은 석탄으로써 2006년에 채굴된 67억 소트 톤 (소트 톤은 907kg 을 1톤으로 계산) 의 석탄중 무려 90%가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7)
불행인지 다행인지 아직도 석탄 가채량은 거의 1조톤 정도 남아있다고 보기 때문에 앞으로도 태울 수 있는 석탄의 양은 꽤많은 편이다. 따라서 당분간 석탄 발전소에 공급할 석탄은 전세계 에너지 수요의 폭발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이 남아있다. 이는 앞으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석탄 발전소로 부터 발생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석탄 발전소의 모습 : CCL 에 따라 복사 허용, 저자 표시 : Castle Gate Power Plant near Helper, Utah by David Jolley 2007 )
따라서 현재의 온난화 문제를 이야기 할 때 전력 생산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빼놓고는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할 수 없을 것이다. 앞으로 이야기 하겠지만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획하거나 발전 방식을 바꿈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차후의 포스트에서 전력 생산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이산화탄소을 억제할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참고 문헌 (Reference)
(1)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electricity_consumption
(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electricity_production
(3) http://www.iea.org/textbase/nppdf/free/2007/key_stats_2007.pdf
(4) http://www.pewclimate.org/technology/overview/electricity
(5)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arbon_dioxide_emissions
(6)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7/11/071114163448.htm
(7) http://en.wikipedia.org/wiki/Coal
(다음에 계속됩니다. )
(일러두기 : 최근 저작권 문제와 관련하여 새롭게 포스트에 표시를 하려 합니다. 이 포스트의 사진과 이미지들 중 public domain 의 표시가 있는 것은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공개된 것이나 발표된 지 오래되어 저작권이 소멸된 것 들입니다. 이를 복사해서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위반되지 않습니다. 단 원자작자 표시가 있고, 이를 표시할 의무를 지정할 경우 이에 따라야 합니다.
GNU/CCL 에 의하여 복사가 허용된 이미지를 가져온 것들도 따로 표시했습니다. 복사 및 재배포가 자유로운 이미지들이므로 역시 복사해서 사용해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출처] 무엇이 인위적 온실 가스를 배출하는가? - 전력 생산 부분|작성자 고든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화탄소에 대한 대책들 2 - 해양 플랑크톤은 새로운 구세주가 될수 있을까? (0) | 2010.02.10 |
---|---|
이산화탄소에 대한 대책들 1 - 분리 저장 기술이 대안이 될 것인가 ? (1) | 2010.02.10 |
육식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다 ? (1) | 2010.02.10 |
2009 년 북극해의 얼음은 증가했다? (0) | 2010.02.10 |
2009 - 2010 겨울 한파 - 다시 빙하기가 온다 ? (부록 : 열염수 순환에 대해서) (1) | 2010.02.10 |